PMP

PMP(tmp) - 인적 자원

imp51 2010. 12. 2. 10:42
프로젝트 전체 팀원이 프로젝트 기획 및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1) 기획 프로세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프로젝트 팀원의 2) 프로젝트 참여도를 강화할 수 있다.(팀 성과를 높이는 간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기획
9,1 인적자원 기획
: 프로젝트 역할, 책임 사항, 필요한 기량, 보고 관계를 식별하여 문서화 하고, 직원 관리 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
* 인적 자원 계획서
- 프로젝트 역할 / 책임 사항, 프로젝트 조직도
- 교육 필요성, 팀 구축 전략, 인정/보상 프로그램 계획
- 규정 준수 사항 / 안전 이슈.
9.1.1 Input
1) 활동 자원 요구사항(Activity Resource Requirement)
2) EEF: 조직 구조 - 인적 자원 계획서 개발 시, 조직구조를 고려해야 함.(제약사항임) -> 갈등의 원인 파악을 위해 조직구조 / 권한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3) OPA
9.1.2 Tool & Technique
1) 조직도 / 직무 기술서
*조직도 / 직무 기술서
1) 계층 구조형 도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Work 중심으로 프로젝트 인도물을 분할
-OBS(Orgnizational Breakdown Structure): 조직/사람 중심으로 분할
-RBS(Resource Breakdown Structure): 자원 유형별로 분류(프로젝트 원가 추적에 용이)
2) 매트릭스 도표(RAM = WBS + OBS)
- 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LRC: Linear Responsibility Chart
: work package / Activity와 프로젝트 팀원 사이의 관계를 연결.
: RAM에서 알 수 없는 정보: 시간 / 일정 / Time / Schedule / due(납기)
- RACI(Responsibility:수행담당, Accountable: 총관책임, Consultant, Inform: 정보 통지) 도표.
: 책임 / 권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추가된 차트 => 내/외부 인원으로 구성 시 역할/책임사항을 명확하게 구분 시 사용.
3) 텍스트형 역할 표: 팀원의 책임 사항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
2) 네트워킹: 공식적 / 비 공식적 교류
3) 조직이론: 다양한 조직 체계에 따라 개인의 반응, 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달라진 다는 점을 인식 해야 함.
9.1.3 Output
1) 인적 자원 계획서.
* 인적 자원 계획서.
1) 역할 / 책임 사항
2) 프로젝트 조직도
3) 직원 관리 계획서
- 직원 확보 / 직원 체제 계획
- 자원 역일표 / 자원 히스토 그램
- 규정 준수 / 인도 사항
* 직원 해제 계획: 팀원의 해제 방법과 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젝트 / 팀원 모두에게 유익한 것.
- 프로젝트 측면에서는 인건비 절감 / 팀원에게는 차기 프로젝트로의 원활한 이전 예정(사기 진작)

* 실행
9.2 프로젝트 팀 확보: 가용 인적자원을 확인하여 프로젝트 배정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팀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9.2.1 Input
1)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인적 자원 관리 계획서: 역할/책임사항, 조직도, 직원 관리 계획서<-팀 확보 / 해제 시기 참조)
2) EEF: 조직 구조 - 매트릭스 조직에서 팀 구성 시, "조직 정책"을 따라야 한다.
3) OPA
9.2.2 Tool & Technique
1) 사전배정(Pre-Assignment)
- 경쟁 입찰의 일환으로 특정인의 배정이 약속된 경우.
- 프로젝트가 특정 전문가의 기술력에 의존하는 경우.
- 프로젝트 헌장에 일부 직원 비용이 약속되어 있는 경우.
2) 협상(Negotiation): 기능 책임자/수행 조직 내의 타 프로젝트 매니져/외부 조직/업체/공급자/계약 업체와 인력 확보를 위해 협상이 필요.
3) 확보: 직원이 부족한 경우, outsourcing을 통해 직원 충원.
4) 가상팀(Virtual Team): 직접 대면하는 일이 적거나, 없는 경우 공통의 목표 아래 주어진 역할을 완수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작업 팀. <- 전자 방식 의사소통 수단(전자 메일/오디오 회의/화상회의)의 발전으로 실현 됨.
- 지리적으로 넓은 지역에 거주하는 직원들로 구성. / 재택 근무자 / 이동에 제약이 있거나 장애인
- 특수 분야의 전문가를 거주 지역에 제한 받지 않고 팀에 영입.
- 다른 시간대에 근무하는 교대 근무조 / 출장 경비 때문에 외면 했던 프로젝트 추진.
- 장점: 출장비/아웃소싱을 통한 인건비 절약 가능 / 전문가 참여로 기술적 전문성을 높임 / 장소의 제약 없이 유연성 확보.
- 단점: 팀원 사이의 분쟁의 소지가 높은. PM이 프로젝트 통제에 여러움이 있음. 원격 의사소통으로 다양한 문제점 발생.
*  가상팀에서는 조직 문화 보다는 의사소통 기획이 중요.
- 팀 구축 활동이 중요함.
-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배려가 필요
 * 호프스테드(Hofstead Model) 모델(<=교육 필요)
: 한 국가의 문화 표현을 4가지 척도로 표현
1) 개인주의 VS 집단주의
2) 대권력주의 VS 소권력 주의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성의 강약
4) 남성다움 VS 여성다움.
9.2.3 Output
1) 프로젝트 팀원 배정.
2)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3) 자원 역일표(Resource Calendar): 각 프로젝트 팀원이 프로젝트에서 작업할 수 있는 기간 기록.
- 신뢰할 수 있는 일정표를 작성 하려면 팀원의 가용성을 정확히 문서화 해야 함.

9,3 프로젝트 팀 교육
: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팀원의 역량 향상과 팀의 협력/전반적인 팀 분위기 개선을 하는 프로세스. - 팀원의 경력 개발의 기초가 되는 단계
9.3.1 Input
1) 프로젝트 팀원 배정.
2)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3) 자원 역일표
9.3.2 Tool & Technique
1) 대인기술(InterPersonal Skill=Soft Skill): 팀 개발에 중요함. - 공감대 / 영향력 / 창의력 / 결속력 조성등의 기량은 프로젝트 팀을 관리할 때 유용함.
2) 교육(개인 관점): 팀원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공식적/비공식적 활동.
3) 팀 구축 활동(Team Building Activity: 일찍 착수하여 신뢰감 / 일치감을 높임)
- 팀 구축 활동의 목표는 팀원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하도록 지원하는 것.
- Virtual Team에서는 팀 구축 전략이 중요함.
* 팀 구축의 주요 장애 원인 <- 팀원들이 빌린 자원(Borrowed Resources)인 경우.
- 효과적인 팀 구축 활동은 PM이 Management의 후원, 팀원의 헌신적 참여, 적절할 보상 / 인정 체계, 효과적인 갈등 관리 / 팀 리더쉽.
- 팀 구축 활동은 프로젝트 성공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며, 지속적으로 행해야 하는 프로세스이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필수적이며, 프로젝트 진행 중,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프로세스 이다.
- Kick-OFF Meeting(착수회의): 프로젝트 목표/팀원의 역할 과 책임을 공유하는 회의, 예산/비용/계약관련과 같이 민감한 주제는 다루면 안된다.
* 프로젝트 팀 5단계 개발 이론.
1) 형성(Forming): 팀이 모여서 프로젝트 자체 및 각자의 공식적인 역할 / 책임사항에 대해 파악하는 단계
- 팀원은 독자적이고 개방적이지 않은 경향/패쇄적.
2) 스토밍(Storming): 팀이 프로젝트 작업. 기술적 의사 결정, 프로젝트 관리 방식을 다루기 시작.
- 다른 사고와 관점에 협조적/개방적이지 않으며 파괴적 환경이 조성.
3) 표준화(Norming): 팀원들이 협력/조율/신뢰하기 시작
4) 수행(Performing): 팀원들이 상호 의존적이며,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함.
5) 해산(Adjourning):  팀이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프로젝트를 떠남.
4) 기본 규칙: 프로젝트 팀원들이 수행 할 수 있는 행동과 관련하여 명확한 기대 사항을 설정.
5) 동일 장소 배치(Co-Location=상황실:War Room): 전체 프로젝트 동안 /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한시적으로 팀원의 대부분/전원을 한 공간에 배치하여, 수행 능력을 높이는 방식.
6) 인정/보상.: 모범적 행동을 인정하고 보상하는 체계 마련.
- 인정/보상 해당자를 결정할 때에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함.
- 인정/보상의 기준은 명백한 근거 및 반드시 성과에 기초해야 함.
- 팀원 중 일부만이 성취할 수 있는 Win-Loose:Zero Sum 보상은 팀 결속력을 해칠 수 있다. (예: 이달의 팀원)
- 누구나 달성 할 수 있는 보상 체계: 경쟁 요소가 없는 것- 팀원들에게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다.
* 금전적 보상: 가장 확실한 유형의 혜택.
* 가장 바람직한 전략: 프로젝트 완료 이후보다는 프로젝트 Life Cycle동안 팀원의 보상 / 인정을 하여 간접적으로 프로젝트 성과 개선을 도모하여야 한다.
9.3.3 Output
1) 팀 성과 측정치(For 피드백을 위해서): 팀효율 평가의 척도
- 개인: 개개인의 직무 수행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기량 개선 사항.
- 팀: 팀워크 향상에 도움이 되는 역량 개선 사항/감소된 직원 이직률/증대된 팀 결속력
2) OPA 갱신

9,4 프로젝트 팀 관리: 프로젝트 성과를 최적화(향상)하기 위해, 1) 팀원의 성과를 추적하여 피드백을 제공, 2) 이슈를 해결하고, 3)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9.4.1 Input
1) 프로젝트 팀원 배정.
2)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3) 팀 성과 평가치: 프로젝트 관리 팀은 프로젝트 팀 성과에 대한 공식적/비공식적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 해야 함.
4) 성과 보고서
5) OPA
9.4.2 Tool & Technique
1) 관찰 / 대화
2) 프로젝트 성과 평가: 팀원들에게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기 위해서,
- 역할 / 책임사항 규명, 알 수 없거나 해결되지 않은 이슈 발견, 개인의 교육 계획 개발, 목표 설정 포함.
3) 갈등 관리
- 배경: 갈등에 대한 관점 변화
 * 전통적 사고의 갈등.
- 문제아 때문(Caused by trouble makers), 나쁘다(bad), 피하고 눌러야 할 것(Must be suppressed, should be avoided)
 * 현대적 사고의 갈등
- 피할 수 없는 것. 가끔은 이익이 될 수 있으며, 변화에 따른 자연적 결과 이며, 관리 할 수 있고 관리해야 하는 것 임.
- 갈등은 프로젝트 수행 시 피할 수 없음.
* 갈등의 원인: 희소 자원, 일정, 우선 순위, 개인의 작업 스타일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 함.
- 일반적, 프로젝트 후반부로 갈 수록 갈등 발생의 주요 원인
[ Schedule(일정)> Priority(우선순위) > Resource(자원)]
- 프로젝트 초반의 갈등 발생의 주요 원인
[Priority > Schedule > Resource]
=> 성공적인 갈등 관리는 생산성을 높이고, 긍정적인 업무 관계를 조성.
- 견해 차이가 부정적 요인이 될 때, 일차적인 해결책임은 프로젝트 팀원/갈등 당사자에게 있으며, 갈등이 지속적으로 고조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자는 해결책을 찾도록 지원해야 함.
* 갈등은 직접적(), 협조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조기()에 개인적으로() 해결 해야 함.
-> 파괴적 갈등이 지속되는 경우, 징계 처분을 비롯한 공식적인 절차를 따를 수 있음.
- 갈등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갈등 발생 시, 대안 모색을 해야 하고, 팀 이슈이며, 솔직함이 갈등의 해결 방안. - 갈등 해결은 개인이 아니라 이슈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과거가 아니라 현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Conflict Management
: 프로젝트 관리자(PM)가 적절한 갈등 관리 기법을 사용하여 피할 수 없는 분쟁을 해소하여 프로젝트 완수를 지향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스.

1) 철회 / 회피(Withdrawing / Avoidance):
실제 / 잠재적 갈등 상황에서 일시 물러남. 잠재적 상황 일시적 해소. 근본 해결책은 아님
2) 원만한 해결(Smoothing/Acceptance): 갈등 이해관계자 중 한쪽이 이해 / 수용. 차이를 보이는 영역 보다는 일치 영역, 분위기 우선, 유사성 강조시 사용.
3) 절충/타협(Compromise): 갈등 이해관계자가 일정 수준 만족/불만족하여 해결책을 모색
4) 강요(Forcing/Compete): 내 의견 강조. 한 사람 견해만 관철하고 다른 사람을 희생 시키는 Win-Lose 해결책만 제시. 내 의견을 관철할 만한 사실적 근거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
5) 협력(Collaboration): 여러 관점으로 부터 다양한 통찰력과 견해를 통합하여 합의와 수용을 유도 <- 근본적 해결책을 찾으려는 시도임.
6) 직면 / 문제 해결(Confront/Problem Solving): 갈등이란 대안을 검토하여 해결할 문제로써, 주고 받는(Give & Take) 태도와 솔직한 대화가 필요한 것으로 간주<- 근본적인 문제 해결 임. 
4) 이슈 기록부
5) 대인 기술
- PM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대인 기술의 예
(1) 리더쉽, (2) 효과적인 의사결정(목표에 초점, 의사결정 프로세스 준수, 팀원 능력 개발, 기회-위기 관리)
(3) 영향력 행사(표현능력, 경청 태도, 모든 상황을 고려, 이슈처리와 합의를 위한 정보 수집)
9.4.3 Output
1) EEF 갱신
2) OPA 갱신
3)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4) 변경 요청: 직원 문제로 인해 일정/예산 변경이 초례한 경우.
* 보충 이론
* 관리 유형
1) Autocratic(독재형=Dictational)
- 전통적인 보스, 독재적, Tight Control, 외부 정보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팀원의 의견을 듣지 않는다. 결정을 스스로 한다.
-> 사안이 시급/긴급한 경우 필요.
2) Directing(지도형/지시형):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 필요.
3) Charisma: 팀원을 격려함, 팀원의 사기를 고무 시킴(Inspire), 팀원의 헌신을 독려함.
4) 공유된 리더쉽: 팀원의 참여 독려, 팀원의 의견 존중, 결정을 이끌어 냄.
*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Role)
- 통합자: Integrator(가장 중요:Matrix 구조),
Communicator(의사 소통자), Leadership/Director, Decision Maker
* Project Life Cycle에 따른 리더쉽 유형
- Directing(작수) -> Coaching(기획) -> Facilitaty(실행) -> Supporting(실행) -> Delegating(종반)
* 프로젝트 후원자(Sponsor)의 역할
- 프로젝트 계획/예산/일정에 대한 승인
- 프로젝트 권한 설정(Project Chapter): PM 선임, 책임/권한 위임.
- 프로젝트 필요 자금 제공
- 프로젝트 자원 투입의 승인
- 프로젝트 범위에 영향을 주는 변경 승인.
- 외부로 부터 프로젝트 보호.
* 헤일로 효과(Halo Effect): 사람 / 사물 평가 시 나타나는 오류.
- 예) 포장이 세련되었다 -> 고 품질 일 것이다. / A업무를 잘한다. -> B 업무도 잘 할 것이다.
* 동기 부여 이론
: PM이 팀원에게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세스. 빌린 팀원인 경우 문제점 발생.(Matrix 조직)
CF) 비 생산적인 회의는 나쁜 팀 워크의 징후이지만, 잦은 팀회의는 나쁜 팀 워크의 징후가 아니다.
1) 매슬로우(Maslow) 5단계 욕구설: 인간의 욕구 추구는 순서가 있다(SES Security Physical)
- Self Actualization(자아실현) > Esteem(존경) > Social Needs(사회적 욕구) > Security Needs(안전 욕구) > Physical Needs(생리적 욕구)
2) 맥그리거(McGregor) X-Y 이론
- Theory X(부정적): 부정적 가정을 통해 해결책 도출. 일반 작업자는 일하기 싫어하기 때문에 강합적으로 일을 시켜야 한다.
- Theory Y(긍정적): 긍정적 가정-일반 작업자는 개인향상과 존경의 기회를 찾음으로, 자발적 참여에 의해 높은 생산성을 얻음.
3) 허즈버그(Herzberg) 위생(Hygine)/동기(Motivating) 이론: 만족/불만족 요소는 따로 관리해야 한다.
- 만족요소가 높다고 불만족이 낮다는 의미는 아니며, 불만족이 높다고 만족도가 낮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 각 관리 되어야 한다.
4) 브론(Vroom)의 기대 이론
:
동기는 3요소(유의성:valance, 수단:instrumentality , 기대:expectation)에 영향을 받음. 어떤 일을 하게 되는 사ㅏㄻ의 동기는 적극적/소극적이든 간에 자신의 노력 결과에 대해 스스로 부여하는 가치에 의해 결정됨. 즉, 자신의 기대 수준 = 외부의 인정/보상 -> 일치시 동기 부여 수준이 높다.
5) 맥클랜드(McClelland) 3욕구 이론 = 성취 동기 이론 = Three Needs Theory
- 성취 욕구(Needs for achivement)
- 권력 욕구(Needs for Power)
- 친화 욕구(Needs for Affliation)
=> 학습을 통해 이러한 욕구들이 키워질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 권력의 원천
1) Legitimate Forms of Power(합법적 권력 = Position power):
PM이 회사내의 위치에 의해 갖는 힘.
- Formal Power(공식적 권력)
- Reward Power(보상적 권력) - 여러 기능 조직에서 팀원이 구성되었을 때 효과적(Matrix 조직)
- Penalty Power(강제적 권력 - Coercive)
2) People types of Power = personal power
:
사람이 갖고 있는 전문지식 / 타나나는 개성에 의해 갖는 힘.
- Expert(전문가적 권력)
- Referent(준거적 권력): 경영진 임명. 명성 / 명예가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