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7,1 원가 산정: 프로젝트 개별 활동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상 근사값(산정치)를 개발.
- 정확한 예상 산정치를 구하기 위해서 Risk를 고려(RR 필요)
- Project Life Cycle이 진행됨에 따라 예상 산정치의 정확도는 향상된다(+- 50% +-10%)
7.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Dictionary, Scope Statement)
- 범위 명세서: 범위 명세서상의 일반적인 제약 조건은 프로젝트 예산을 산정하는데 고려 사항이 된다.
- WBS: 원가 산정치를 조직화 하고 식별된 모든 작업에 대한 산정을 보증하는 데 사용.
2) 프로젝트 일정: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의 유형과 / 수량 / 시간은 원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
- Activity Resource Requirement / Activity Duration
3) 인력 계획: 인력의 특성 / 임금 수준 / 보상, 인정은 원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
4) 위험 등록부(Risk Register): 윔험을 대비한 비용(Reserve) 고려, Risk는 비용을 증가하고, 일정을 지연시킴.
5) EEF: Matket Conditions
6) OPA
7.1.2 Tool & Technique
1) 전문가 판단 - Delphi 기법
2) 유사추정(Analogous Estimating = 유추추정 / Top - Down / 하향식 추정)
- 전체 비용을 유사 프로젝트(Historical Information)를 참조하여 전문가가 산정 후, 분활한다.
- 비용은 적게 들지만, 정확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초반 상세 정보가 부족한 경우 / 제한적인 경우 사용.
* 이전 프로젝트 활동이 외적/실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 신뢰성이 높음.
* 산정 주체가 해당 업무의 전문 지식을 보유한 경우. <- 신뢰성이 높음.
3) 모수추정(Parametic Estimating): 원가 예측을 위해 수학적 모형 내에 있는 프로젝트 특성을 사용하는 것.
- 모형 개발에 사용된 역사적 정보가 정확한 경우
- 모형에서 사용되는 모수들이 즉시 계량화 할 수 있는 경우.
- 모형이 확장 가능한 경우
4) 상향식 산정(Bottom-up Estimating)
- 개별 활동/Work Package의 원가 산정 후, 전체로 더하면서 프로젝트의 전체 예산 결정. - 정확도가 높다.
5) 3점 추정(3Points Estimating=PERT: 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 활동 예산에 대해 3가지 추정치를 사용하여 Mean 값을 도출.
6) 예비비 분석(Reserve Analysis)
- PM이 제량권을 갖는 돌발 상황 충당금(Contingency allowance)
- 예상할 수 있는 돌발 상황들을 대비한 자원을 준비. 프로젝트 관련 상세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 자주 사용됨.
7) COQ(Cost Of Quality)
8) PMIS
7.1.3 Output
1) 활동 원가 산정치
- 프로젝트 활동들을 완료하는데 요구되는 자원의 가능성 있는 원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치
- 노무비, 재료부/소모품비/물가 상승 충당금/비용 예비 자원도 포함.
- 원가 산정은 위험 대응 기획에 대한 고려도 포함(원가에 Contingency Reserve가 포함됨.)
2) 산정기준
3) 프로젝트 문서 갱신
7,2 예산 수립: 개별 활동/작업 패키지별로 산정된 원가를 합산하여 승인된 원가 기준선을 개발하는 프로세스
- 관리 예비비를 제외하고 모든 원가는 승인되어야 함.
- 프로젝트 예산은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승인된 자금으로 편성된다. <- 예산 초과시 이해관계자들의 승인을 받아야 함.
7.2.1 Input
1) 활동 원가 산정치 / 산정기준
2) 범위 기준선
3) 프로젝트 일정 / 4) 자원 달력
5) 계약서 / 6) OPA
7.2.2 Tool & Technique
1) 원가 합산(Cost Aggregation)
2) 예비비 분석(Management Reseve)
- 예비비 분석을 통해 contingency reserve + Management Reserve
3) 전문가 판단
4) 선례관계
5) 자금 한도 조정
7.2.3 Output
1) 프로젝트 원가 성과 기준선
- 승인된 시간 단계별 완료시점 예산(BAC), 프로젝트 전반의 원가 성과를 측정하고 감시/통제하는데 사용.
- 시간 단계별로 승인된 예산을 합산하여 개발 -> S 곡선 형태로 표시됨.
- EVM(획득가치기법)에서는 원가성과 기준선을 PMB(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성과 측정 기준선)이라함.
2) 프로젝트 자금 요구사항
- 증가되는 자금의 양은 지속적이지 않고 비연속적인 증분값인 계단 함수로 보여짐
- 요구되는 총 자금은 원가 기준선에 포함된 자금과 그 밖의 관리 예비비를 합산한 금액.
3) 프로젝트 문서 갱신
* 감시 / 통제
7,3 원가 통제: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1) 프로젝트 예산을 갱신, 2) 원가 성과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 승인된 원가 기준선에 변경을 가져 오는 요인을 조정
- 모든 변경 요청이 적시에 실행되도록 감시
- 원가 지출이 승인된 자금과 프로젝트 총액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
- 승인되지 않은 변경은 포함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모든 변경사항은 이해관계자에게 통지.
7.3.1 Input
1)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2) 프로젝트 자금 요구사항
3) 작업 성과 정보(WPI): 승인되어 집행된 원가 / 산정치 정보 포함.
4) OPA
7.3.2 Tool & Technique
1) 획득가치관리(EVM: Earned Value Management)
- 기성고 분석이라 하며, 성과 측정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범위 / 원가 / 일정 측정 결과를 통합하여 프로젝트 관리팀에서 프로젝트 성과와 진행을 평가 / 측정 하루 수 있도록 지원.
-> 무엇을 하는데 얼마만큼의 원가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
- EVM에서는 업무의 양을 화폐 단위로 변경하여 측정함.
2) 예측(Forecasting)
- EAC(Estimates At Completion:완료시점 산정치): 현재 시점에서 누적 데이터를 가지고 완료시점까지의 미래 예산을 예측
- ETC(Estimates To Completion):프로젝트 완료까지 소요될 추가 예산에 대한 새로운 산정치
- 계산된 EAC는 적절한 이해관계자에게 보고되어야 한다.
* VAC(Variance At Completion) = BAC - EAC : 현시점에서 추정한 완료 시점까자의 추가 발생 원가.
3) 완료성과지수(TCPI: To-Completion Performance Index)
: BAC(완료시점 예산) / EAC(완료 시점 예산 산정치)와 같이 정해진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잔여 작업에서 달성해야 하는 원가 성과를 산출한 예상치.
4) 성과 검토: 시간 / 예산을 초과하거나 미사용한 작업과 작업패키지, 마일스톤, 기술 성과, 위험 등에 대한 원가 성과 검토.
=> 차이분석 / 추세 분석 / 획득 가치 성과
5) 차이 분석: 원가 성과 측정치(CV, CPI)를 사용해 초기 원가 성과 기준선과의 차이를 평가한다.
- 차이 발생원인 / 시정 조치 / 예방조치의 집행 여부를 판단.
7.3.3 Output
1) 원가 성과 측정치: WBS 구성요소에 의해 계산된 CV, SV, CPI, SPI를 적절한 이해관계자에게 보고.
2) 예산 예측: EAC를 문서화 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즉시 공지한다.
3) 변경요청
4)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문서 / OPA 갱신
7,1 원가 산정: 프로젝트 개별 활동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상 근사값(산정치)를 개발.
- 정확한 예상 산정치를 구하기 위해서 Risk를 고려(RR 필요)
- Project Life Cycle이 진행됨에 따라 예상 산정치의 정확도는 향상된다(+- 50% +-10%)
7.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Dictionary, Scope Statement)
- 범위 명세서: 범위 명세서상의 일반적인 제약 조건은 프로젝트 예산을 산정하는데 고려 사항이 된다.
- WBS: 원가 산정치를 조직화 하고 식별된 모든 작업에 대한 산정을 보증하는 데 사용.
2) 프로젝트 일정: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의 유형과 / 수량 / 시간은 원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
- Activity Resource Requirement / Activity Duration
3) 인력 계획: 인력의 특성 / 임금 수준 / 보상, 인정은 원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
4) 위험 등록부(Risk Register): 윔험을 대비한 비용(Reserve) 고려, Risk는 비용을 증가하고, 일정을 지연시킴.
5) EEF: Matket Conditions
6) OPA
7.1.2 Tool & Technique
1) 전문가 판단 - Delphi 기법
2) 유사추정(Analogous Estimating = 유추추정 / Top - Down / 하향식 추정)
- 전체 비용을 유사 프로젝트(Historical Information)를 참조하여 전문가가 산정 후, 분활한다.
- 비용은 적게 들지만, 정확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초반 상세 정보가 부족한 경우 / 제한적인 경우 사용.
* 이전 프로젝트 활동이 외적/실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 신뢰성이 높음.
* 산정 주체가 해당 업무의 전문 지식을 보유한 경우. <- 신뢰성이 높음.
3) 모수추정(Parametic Estimating): 원가 예측을 위해 수학적 모형 내에 있는 프로젝트 특성을 사용하는 것.
- 모형 개발에 사용된 역사적 정보가 정확한 경우
- 모형에서 사용되는 모수들이 즉시 계량화 할 수 있는 경우.
- 모형이 확장 가능한 경우
4) 상향식 산정(Bottom-up Estimating)
- 개별 활동/Work Package의 원가 산정 후, 전체로 더하면서 프로젝트의 전체 예산 결정. - 정확도가 높다.
* 정확도 - 상향식 산정 > 모수 산정 > 유사 산정 * 산정치의 정밀성 1) ROM: Rough order of Magnitude estimate - 초기 착수(-50~50%) 2) Order of Magnitude Estimate - 착수(-25% ~ 75%) 3) Budget Estimate - 초기 기획(-10% ~ 25%) 4) Definitive Estimate - 최종 기획(-5%~10%) |
5) 3점 추정(3Points Estimating=PERT: 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 활동 예산에 대해 3가지 추정치를 사용하여 Mean 값을 도출.
- P: 비관 추정치, O: 낙관 추정치, M: Most Likely *Mean(평균) = (P + O + 4M)/6 * ∂(Sigma) = (P-O)/6 1∂ = 68.3%, 2∂=95.5%, 3∂=99.7%, 4∂ = 99.9% |
- PM이 제량권을 갖는 돌발 상황 충당금(Contingency allowance)
- 예상할 수 있는 돌발 상황들을 대비한 자원을 준비. 프로젝트 관련 상세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 자주 사용됨.
7) COQ(Cost Of Quality)
8) PMIS
7.1.3 Output
1) 활동 원가 산정치
- 프로젝트 활동들을 완료하는데 요구되는 자원의 가능성 있는 원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치
- 노무비, 재료부/소모품비/물가 상승 충당금/비용 예비 자원도 포함.
- 원가 산정은 위험 대응 기획에 대한 고려도 포함(원가에 Contingency Reserve가 포함됨.)
2) 산정기준
3) 프로젝트 문서 갱신
7,2 예산 수립: 개별 활동/작업 패키지별로 산정된 원가를 합산하여 승인된 원가 기준선을 개발하는 프로세스
- 관리 예비비를 제외하고 모든 원가는 승인되어야 함.
- 프로젝트 예산은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승인된 자금으로 편성된다. <- 예산 초과시 이해관계자들의 승인을 받아야 함.
7.2.1 Input
1) 활동 원가 산정치 / 산정기준
2) 범위 기준선
3) 프로젝트 일정 / 4) 자원 달력
5) 계약서 / 6) OPA
7.2.2 Tool & Technique
1) 원가 합산(Cost Aggregation)
2) 예비비 분석(Management Reseve)
- 예비비 분석을 통해 contingency reserve + Management Reserve
4) 선례관계
5) 자금 한도 조정
7.2.3 Output
1) 프로젝트 원가 성과 기준선
- 승인된 시간 단계별 완료시점 예산(BAC), 프로젝트 전반의 원가 성과를 측정하고 감시/통제하는데 사용.
- 시간 단계별로 승인된 예산을 합산하여 개발 -> S 곡선 형태로 표시됨.
- EVM(획득가치기법)에서는 원가성과 기준선을 PMB(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성과 측정 기준선)이라함.
2) 프로젝트 자금 요구사항
- 증가되는 자금의 양은 지속적이지 않고 비연속적인 증분값인 계단 함수로 보여짐
- 요구되는 총 자금은 원가 기준선에 포함된 자금과 그 밖의 관리 예비비를 합산한 금액.
3) 프로젝트 문서 갱신
* 감시 / 통제
7,3 원가 통제: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1) 프로젝트 예산을 갱신, 2) 원가 성과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 승인된 원가 기준선에 변경을 가져 오는 요인을 조정
- 모든 변경 요청이 적시에 실행되도록 감시
- 원가 지출이 승인된 자금과 프로젝트 총액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
- 승인되지 않은 변경은 포함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모든 변경사항은 이해관계자에게 통지.
7.3.1 Input
1)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2) 프로젝트 자금 요구사항
3) 작업 성과 정보(WPI): 승인되어 집행된 원가 / 산정치 정보 포함.
4) OPA
7.3.2 Tool & Technique
1) 획득가치관리(EVM: Earned Value Management)
- 기성고 분석이라 하며, 성과 측정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범위 / 원가 / 일정 측정 결과를 통합하여 프로젝트 관리팀에서 프로젝트 성과와 진행을 평가 / 측정 하루 수 있도록 지원.
-> 무엇을 하는데 얼마만큼의 원가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
- EVM에서는 업무의 양을 화폐 단위로 변경하여 측정함.
* EVM에서는 각 작업 패키지와 통제 단위에 대해 세 가지 중요한 지표를 개발하여 감시. 1) 계획가치(PV: Planned Value) = BCWS(Budget Cost of Work Scheduled: 예정 작업의 예산 원가) : 특정 시점까지 완료하기로 계획된 작업의 양(Plan %) - 수행할 작업에 배정되어 승인을 받은 예산 - 프로젝트의 총 계획 가치는 완료시점 예산(BAC)이라고 함. <- 즉, 모든 활동의 원가를 집계한 예산 총합(Total Budget = 누적 PV로 이해하면 쉽다.) 2) 획득가치(EV: Earned Value) = BCWP(Budget Cost of Work Performed: 수행 작업의 예산 원가) :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작업의 양(done %) - 수행된 작업에 배정하여 승인을 받은 예산으로 표현되는 작업 가치. - PM은 EV를 감시하여 현재 상태를 의미함으로 차이 비교의 기준이 된다. * 성과 평가시는 PV가 기준이 된다. 3) 실제원가(AC: Actual Cost) = ACWP(Actual Cost of Work Performed:수행작업의 실제 원가) :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작업 수행에 투입된 실적 원가. -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실제 발생된 총 원가. - AC는 상한선 없이 EV를 달성하기 위해 지출한 총액을 측정하고, 기준선으로 부터 차이도 감시한다. 1) 일정 차이(SV: Schedule Variance): 일정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 - "실제 수행 작업 범위의 가치"와 "계획된 작업 범위의 가치"의 차이로 인해 발생된 차이. * SV = EV - AC = BCWP - BCWS - SV > 0 : 일정 단축(긍정적 의미) - SV =0 : 계획상 차질 없음. - SV <0 : 일정 지연(부정적 의미) 2) 원가 차이(CV: Cost Variance): 원가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 - "예산상의 원가"와 "실제 원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차이. * CV = EV - AC = BCWP - ACWP - CV > 0 : 비용 절감(긍정적 의미) - CV =0 : 계획상 차질 없음. - CV <0 : 비용 초과(부정적 의미) 3) 일정 성과 지수(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 프로젝트의 예정 진행률 대비 실제 달성 진행률의 척도. * SPI = EV/PV - SPI > 1 : 완료된 작업이 계획량 초과: 긍정적 수치 - SPI = 1 : 계획상 차질이 없다. - SPI < 1 : 완료된 작업이 계획량 미달: 부정적 수치 4) 원가 성과 지수(CPI: Cost Performance Index): 프로젝트 실제 원가 또는 진행률 대비 완료된 작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척도. - EVM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완료된 작업에 대한 원가 효율 측정. * CPI = EV/AC - CPI > 1 : 완료된 작업이 원가 절감: 긍정적 수치 - CPI = 1 : 계획상 차질이 없다. - CPI < 1 : 완료된 작업이 원가 초과: 부정적 수치 |
- EAC(Estimates At Completion:완료시점 산정치): 현재 시점에서 누적 데이터를 가지고 완료시점까지의 미래 예산을 예측
- ETC(Estimates To Completion):프로젝트 완료까지 소요될 추가 예산에 대한 새로운 산정치
- 계산된 EAC는 적절한 이해관계자에게 보고되어야 한다.
* VAC(Variance At Completion) = BAC - EAC : 현시점에서 추정한 완료 시점까자의 추가 발생 원가.
* EAC = AC(현재까지의 소요된/집행된 예산) + ETC(앞으로 들어갈 원가/예산) 1) ETC = BAC - EV <- 프로젝트 착수한지 얼마되지 않아 현재 지표가 미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사용. 2) ETC = (BAC - EV)/CPI <- 현재 누적 Data가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사용: 가장 일반적임. 3) ETC = (BAC - EV)/CPI*SPI EAC = AC + ETC = AC + (BAC-EV)/CPI = BAC/CPI |
: BAC(완료시점 예산) / EAC(완료 시점 예산 산정치)와 같이 정해진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잔여 작업에서 달성해야 하는 원가 성과를 산출한 예상치.
1) BAC 기준의 TCPI : TCPI = (BAC - EV) / (BAC - AC) 2) EAC 기준의 TCPI : TCPI = (BAC - EV) / (EAC - AC) * TCPI의 의미 - TCPI > 1 : Budget is too tight - TCPI = 1 : Right on Budget - TCPT<1 : You can relax |
=> 차이분석 / 추세 분석 / 획득 가치 성과
5) 차이 분석: 원가 성과 측정치(CV, CPI)를 사용해 초기 원가 성과 기준선과의 차이를 평가한다.
- 차이 발생원인 / 시정 조치 / 예방조치의 집행 여부를 판단.
7.3.3 Output
1) 원가 성과 측정치: WBS 구성요소에 의해 계산된 CV, SV, CPI, SPI를 적절한 이해관계자에게 보고.
2) 예산 예측: EAC를 문서화 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즉시 공지한다.
3) 변경요청
4)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문서 / OPA 갱신
* 보충 이론 * 원가의 유형 1) 직접빕 2) 간접비 3) 변동비 4) 고정비 * 매몰원가 * 기회원가 * 화폐의 시간 가치 PV(현재 가치: Present Value): FV/(1+이자률)n : n: 단위 년수. * 감가상각 * 학습곡선(Learning Curve Theory): 생산량이 두배로 증가할 때(학습 효과에 의해) 일정한 비율 만큼 생산 시간 / 변동 생산 비율이 절감된다는 이론. * 소유대 임대 결정(계획 단계 수행) * 수행 주기 원가 계산(Life Cycle Costing, Total Cost of OwnerShip) - 제품의 R&D 비용만이 아니라, 사후 유지보수 비용까지 고려하여 원가를 계산하고 책정하는 원가 계산 기법. - 프로젝트 수명 주기만이 아니라, 제품의 수명주기까지 고려한다. * 프로젝트 산정 방법 |
'P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tmp) - 인적 자원 (0) | 2010.12.02 |
---|---|
PMP(tmp) - 품질(Quality) (0) | 2010.12.02 |
PMP - 일정(Schedule) (0) | 2010.12.01 |
PMP - 범위(Scope) (0) | 2010.11.30 |
PMP - 통합 (0) | 201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