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P

PMP - 전문가 책임. 프로젝트 관리 업무의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합법적(Legal), 윤리적(ethical), 전문가(Professional)다운 행동 양식을 기초로 한다. * Legal > Ethical > Professional - PMBok에서 말하는 전문가란? 1) 윤리와 도덕적인(40%) – Code of Ethics / Code of Conduct 2) 책임감 있는(40%) 3) 경험 많고, 정통하고, know-how가 있는(20%) -> 이와 같이 전문가에서 윤리와 도덕을 강조하는 사회적 배정은: Window Dressing Settlement(분식 회계) * Structure of Code(윤리 강령의 구조: Responsibility, Respect, Fairness, Honesty) 1) Responsibil.. 더보기
PMP(tmp) - 조달(Procurement) - 조달 대상자원의 품질에 대한 궁국적인 책임은 수행 조직(프로젝트 팀)에게 있다. * 기획 12,1 조달 계획 수립: 조달에 대한 요구사항을 문서화 하고, 조달하고자 하는 것을 언제, 어떻게, 무엇을 구매/획득할지 결정. * Procurement SOw: 산출물을 프로젝트 팀이 만들지 외부에서 구매할 지 결정. - WBS의 일부/전체를 outsoursing 할 수 있다. 1) 설계 SOW: 과정 중시 - Buyer(구매자) Risk가 높다. ex) 건설. 2) 과정 SOW: 결과 중시 - Seller(판매자) Risk가 높다. ex) R&D 12.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Dictionary, Scope Statement) 2) 요구사항문서 3) 활동 자원 요구사항. 4) 프로.. 더보기
PMP(tmp) - 위험(Risk) Project는 유일성(Unique) / 가정(Assumption)이라는 특성에 의해 점진적 구체화(Progressive Elaboration) 특성이 있고, Unique / Assumption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Risk Management를 통해 통제되어야 한다. => 성공적 프로젝트를 위해! * 보충 이론 * Risk의 3요소. 1. Event: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징후) Event = 리스크 발생확률(Probability) * 영향(Impact) 2. Probability(=likelihood / outcome: 가능성/확률): 불확실성 - 아직 발생하지 않음 Fast Tracking을 하는 경우 Rework이 증가하고, Quality가 낮아짐. 즉, 일정 지연이라는 Risk로 인해 .. 더보기
PMP(tmp) - 의사소통(Communication) * 프로젝트 의사 소통 관리 프로젝트 정보의 생성, 수집, 배포, 저장, 검색 및 최종 처리가 적시에 수행되도록 프로젝트 관리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과 의사소통 하는데 소요. - 의사소통 비율 문제는 가장 큰 숫자가 답. 이해 관계자와 의사소통시 "청취"가 중요함. * 착수 10,1 이해관계자 식별: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조직을 식별, 각 각의 이해 사항/관여도/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정보를 문서화 하는 프로세스 * 프로젝트 주요 이해 관계자: Customer, Sponsor, Project Manager, Project Team. -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프로젝트 결과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 / 조직. 9.1.1 Inpu.. 더보기
PMP(tmp) - 인적 자원 프로젝트 전체 팀원이 프로젝트 기획 및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1) 기획 프로세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프로젝트 팀원의 2) 프로젝트 참여도를 강화할 수 있다.(팀 성과를 높이는 간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기획 9,1 인적자원 기획: 프로젝트 역할, 책임 사항, 필요한 기량, 보고 관계를 식별하여 문서화 하고, 직원 관리 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 * 인적 자원 계획서 - 프로젝트 역할 / 책임 사항, 프로젝트 조직도 - 교육 필요성, 팀 구축 전략, 인정/보상 프로그램 계획 - 규정 준수 사항 / 안전 이슈. 9.1.1 Input 1) 활동 자원 요구사항(Activity Resource Requirement) 2) EEF: 조직 구조 - 인적 자원 계획서 개발 시, 조직구조를 고려해야 함.(.. 더보기
PMP(tmp) - 품질(Quality) * 기획 8,1 품질 기획: 프로젝트/ 제품 품질 요구사항 / 표준을 식별하고, 어떻게 프로젝트가 이를 준수하는 가를 입증하는 방법을 문서화 하는 프로세스 8.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Dictionary, Scope Statement:인수조건) 2) 일정 기준선 3) 원가성가 기준선 4) 위험 등록부(Risk Register) 5) 이해관계자 등록부 5) EEF: 정부 당국 규제, 응용 분야별 규칙, 표준 및 지침, 상위 조직의 지침 / 절치 프로젝트 관리팀에서는 프로젝트에 관한 품질 정책을 계발해야 한다. * 고객의 품질 정책: 최우선 고려사항. 7.1.2 Tool & Technique 1) 원가-편익 분석: 품질 기획 시, 반드시 비용/편익의 상관 관계(trade-off)를.. 더보기
PMP - 원가(Cost) * 기획 7,1 원가 산정: 프로젝트 개별 활동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상 근사값(산정치)를 개발. - 정확한 예상 산정치를 구하기 위해서 Risk를 고려(RR 필요) - Project Life Cycle이 진행됨에 따라 예상 산정치의 정확도는 향상된다(+- 50% +-10%) 7.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Dictionary, Scope Statement) - 범위 명세서: 범위 명세서상의 일반적인 제약 조건은 프로젝트 예산을 산정하는데 고려 사항이 된다. - WBS: 원가 산정치를 조직화 하고 식별된 모든 작업에 대한 산정을 보증하는 데 사용. 2) 프로젝트 일정: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의 유형과 / 수량 / 시간은 원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 - Activity .. 더보기
PMP - 일정(Schedule) * 기획 6,1 활동정의(Activity Definition): 다양한 프로젝트 인도물(Deliverables)을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세부 활동을 식별. - 활동(Activity)는 작업 팩키지(Work Package)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작업. - 활동은 프로젝트 작업의 산정, 일정 계획, 실행, 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를 위한 기초가 된다. 6.1.1 Input 1) 범위 기준선(WBS, WBS 사전, 범위 명세서): 프로젝트 인도물 / 제약 사항 / 가정이 포함됨으로 이를 통해 활동 식별시 해당 사항을 고려함. 2) EEF / 3) OPA 6.1.2 Tool & Technique 1) 분활(Decomposition): Work package를 더욱 작고 / 관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 분활 |----.. 더보기
PMP - 범위(Scope) * 범위 관리(Scope Management)는 (1) 일정 / 예산 수립, (2) 품질 관리 (3) 자원 관리 (4) 인력 조달의 기초가 됨. * 기획 5,1 요구사항 수집: 프로젝트 목적 /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문서화 하는 프로세스. 5.1.1 Input 1) 프로젝트 헌장 2) 아해관계자 등록부 5.1.2 Tool & Technique 1) 인터뷰 - 공식/비공식적으로 준비된 질문/즉흥 질문을 이용하여 이해관계자와 직접 대화를 통해 수집. - 경험있는 프로젝트 참여자 / 이해관계자 / 해당 주제 전문가들이 인터뷰에 참여하여야 정확한 요구사항을 수집할 수 있다. 2) 핵심 그룹(Focus Group) : 선별된 이해관계자 / 해당 주제 전문가들이 좌담(Interac.. 더보기
PMP - 통합 * 착수 4,1 프로젝트 헌장 개발(Project Chapter) : 프로젝트 / 단계(Phase)를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이해관계자(stakeholders)의 초기 요구사항을 문서화 하는 프로젝트 헌장 개발. * Project Chapter 1) 프로젝트 헌장은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승인하는 문서. 2) PM에게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조직 자원을 승인해 주는 기능 제공. 3) PM은 프로젝트 관리 기획(착수) 전이나 프로젝트 헌장이 작성될 때 임명되어야 한다. - 늦어도 실행단계 시작전(기획단계 완료전)에는 임명 되어야 한다. 4) PM이 변경되면 프로젝트 헌장도 변경되어야 한다. 5) 프로젝트 헌장에는 Project의 궁국적인 목표 / PM 권한 및 책임이 명시 6) Sponsor(후원자)가 직적 .. 더보기